2024년 5월부터 병원, 약국 방문 시 신분증 지참이 의무화됩니다. 신분증 없는 미성년자 진료방법과 모바일 신분증 발급받고 편하게 진료받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
병원, 약국 방문 시 신분증 필요
병원, 약국 방문 시 신분증 필요 건강보험 부정수급 방지를 위해 국민건강보험 개정에 따라 병·의원 방 문 시 본인 확인 절차가 강화되었습니다.



신분증 본인 확인 예외 대상
신분증이 없는 19세 미만 환자는 행정기관이나 공공기관에서 본인임을 증명하는 서류를 제출해도 되지만, 기존과 같이 주민등록번호로 확인하고 진료가 가능합니다.
- 만 19세 미만
- 6개월 이내 요양급여를 받은 사람 또는 재진환자 [본인여부를 확인한 요양기관에 확인일]
- 처방전에 의한 약국의 약제를 지급받은 사람
- 진료의뢰, 회송환자
- 응급환자
- 거동이 현저희 불편한 자 등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경우



신분증을 두고 왔어요!
신용카드도 핸드폰 안으로 들어가 각종 페이로 활용하고 있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. 신분증 깜박하고 두고올수 있습니다.
신분증으로 본인 확인할수 있는 것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- 건강보험증
- 주민등록증
- 운전면허증
- 여권
- 국가보훈등록증
- 장애인등록증
- 외국인등록증 [외국국적동포 국내거소신고증, 영주증 등]
- 모바일 신분증 [모바일건강보험증, QR인증 포함] -▼▼
모바일 건강보험증 - Google Play 앱
모바일 건강보험증은 본인확인 인증을 받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 병의원을 방문할 때는 모바일 건강보험증으로 진료를 접수하세요.
play.google.com
※ 사진, 사본이 아닌 실물 신분증만 인정 가능합니다.
※ 증명서 또는 서류는 유효기간이 기재되어야 합니다.

모바일 신분증 발급
운전면허증이 있으시다면 모바일 신분증으로 사용가능하며, 은행과 병원 같은 공공기관 제출도 가능합니다.
모바일 신분증 (운전면허증, 국가보훈등록증) - Google Play 앱
모바일 신분증 앱 업데이트(2.0.12) 실시 안내
play.google.com
바뀌는 정책들을 미리 파악하시고, 아프고 힘들때 병원에서 곤란한 상황을 피하셨으면 좋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
연봉과 월급 실수령액 계산기! 급여지급 원칙과 공제항목 및 4대보험 요율 알아보기
근로자는 근로계약서를 작성하게 되어 있고, 그 대가로 연봉을 받고 있습니다. 이때 책정되어 있는 연봉을 그대로 받지 못하기 때문에 오늘 이 포스팅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. 세금 공제 항목을
happy7.moneybox8.com
'희망을 가진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남위레역 에듀포레, 무순위 청약[긴급], 4월 24일 (0) | 2024.04.09 |
---|---|
정기예금 금리비교 TOP5 (0) | 2024.04.07 |
연봉과 월급 실수령액 계산기! 급여지급 원칙과 공제항목 및 4대보험 요율 알아보기 (0) | 2024.04.04 |
금 시세, 금값, 어디까지 올라갈까! , 향후 전망 (0) | 2024.03.30 |
공모주 삼현, 임원, 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주식수 변동 (0) | 2024.03.29 |